최근 미국에서 달걀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2022년부터 시작된 달걀값 상승은 2023년과 2024년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이 두 배 이상 오르기도 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물가 상승 압력이 가중되고 있으며, 한국을 포함한 해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미국 달걀값 폭등의 주요 원인과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본다.
미국의 달걀값 폭등 원인
1.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
미국 달걀값 급등의 가장 큰 원인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의 확산이다. 2022년 이후 미국 전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가 유행하면서 수천만 마리의 산란계(알을 낳는 닭)가 살처분되었다. 이에 따라 달걀 공급이 급감했고, 가격이 급등했다.
2. 사료비 및 생산비 상승
세계적인 곡물 가격 상승도 달걀값 폭등에 영향을 미쳤다. 달걀 생산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옥수수와 대두 가격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기후 변화 등의 영향으로 크게 올랐다.
3. 물류비 증가 및 노동력 부족
미국 내 물류비용 상승과 노동력 부족도 달걀 가격 인상에 한몫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 공급망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운송비와 인건비 상승이 생산자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4. 수요 증가
미국 내 달걀 수요 증가도 가격 폭등의 원인 중 하나다. 달걀은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가격 대비 영양가가 높아, 고기류의 대체 식품으로 소비되는 경향이 있다.
국내에 미칠 영향
1. 국내 달걀 수입 가격 상승 가능성
한국은 달걀을 주로 국내에서 생산하지만,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시 부족한 물량을 해외에서 수입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 미국 달걀값이 급등한 상황에서는 수입 가격이 높아져 국내 시장에서 활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2. 식품업계 원가 부담 증가
달걀은 제빵, 제과, 가공식품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원재료다. 미국발 달걀값 상승이 국제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경우, 국내 식품업계도 원가 부담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마요네즈, 케이크, 빵 등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원재료 가격 상승 압박을 받을 수 있다.
3. 국내 물가 상승 압력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일본 등에서도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달걀 공급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곡물가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국내 소비자 물가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미국의 달걀값 폭등은 조류 인플루엔자, 사료비 상승, 물류비 증가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했다. 이는 미국 내 소비자 부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 역시 달걀 수입 가격 상승, 식품업계의 원가 부담 증가, 물가 상승 압력 등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부와 업계는 달걀 공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해외 시장 변동성을 고려한 대응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